‘글루텐 안전성 바로 보기’언론인 초청(9월 29일)

[심포지엄] ‘글루텐 안전성 바로 보기’언론인 초청(9월 29일)

799
0
SHARE

[심포지엄] 글루텐 안전성 바로 보기언론인 초청(929)

밀가루 섭취, 한국인 건강에 문제 일으키지 않는다

의료계, “밀가루 섭취가 국민 건강에 문제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단

글루텐 프리 식품을 건강식ㆍ다이어트식으로 여기는 것은 잘못

글루텐 대표 질환인 셀리악병에 걸린 한국인은 30대 여성 1명 뿐

셀리악병 환자의 95%가 보유한 HLA-DQ2 유전자 보유한 한국인은 거의 없어

—————-

현재 37세인 주부 김모씨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최명규 교수를 방문한 것은 5년쯤 전이었다.

김씨는 “15년 전부터 잦은 설사ㆍ복부 불편감ㆍ팽만감으로 고생했고 소화 불량이 심해 음식을 제대로 먹기 힘들었다”며 “최근 5년간 체중이 10㎏이나 빠졌고 심한 골다공증으로 인해 5개월 전엔 다발성 골절 치료를 받았다”고 호소했다.

김씨는 셀리악병(Celiac disease) 환자로 진단됐고 지난해 대한소화기학회지’6월호에 국내 첫 환자로 공식 보고됐다. 셀리악병은 밀가루에 든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이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선 2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주최로 요즘 안전성 논란에 휩싸인 ‘글루텐 바로 보기’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최명규 교수는 “셀리악병은 유전적 요인이 작용하는 병인데 셀리악병 환자의 95%가 보유한 HLA-DQ2 유전자를 지닌 한국인은 거의 없다”며 “밀가루 섭취가 우리 국민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글루텐 프리(gluten free,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는 식품) 식품이 건강식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글루텐 프리 식품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란 일부의 광고와 주장도 근거가 부족하다고 했다.

“글루텐 프리 식품은 글루텐 함량만 낮췄을 뿐 당류ㆍ탄수화물은 되레 더 많이 함유한 경우가 많다”는 것.

현재까지 국내 유일의 셀리악병 환자인 김씨는 혈중 칼슘ㆍ철분 농도가 정상보다 낮고 내시경 검사에서 소장 점막이 위축되고 소장의 융모가 소실되는 등 전형적인 셀리악병 증상을 보였다. 셀리악병 환자에겐 글루텐 프리 음식이 ‘특효약’이다.

김씨는 글루텐 프리 음식을 먹은 지 2달 뒤 최 교수를 찾아와 “체중이 늘고 너무 좋아졌다”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8개월 후 검사에선 빈혈이 사라지고 골밀도가 높아져 골다공증이 개선됐다.

———————

심포지엄에서 분당서울대병원 이동호 교수는 “셀리악병 환자에겐 글루텐 프리 음식이 치료제이지만 일반인은 굳이 글루텐 프리 식품을 선택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조언했다.

셀리악병은 두통ㆍ피로ㆍ근육통ㆍ관절통에서 우울증ㆍ골다공증ㆍ불임ㆍ자가면역질환ㆍ뇌질환ㆍ림프종 등에 이르는 다양한 질환을 부를 수 있는 ‘큰 병’이다.

셀리악병의 발생률은 인종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백인에서 흔하다. 서구인의 30∼40%는 HLA-DQ2 유전자를 갖고 있다.

동양인ㆍ흑인에선 극히 드물다. 특히 한국ㆍ일본ㆍ중국인 중에서 HDL-DQ2 유전자를 보유한 사람은 찾기 힘들 정도다.

셀리악병까지는 아니지만 밀가루 음식을 먹은 뒤 소화가 안 되거나 배에 가스가 차거나 복통ㆍ설사등 과민성 장(腸)증후군과 비슷한 ‘비(非)셀리악 글루텐 민감성’도 있다.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은 밀에 대한 면역반응, 셀리악병 혈청검사, 십이지장 조직검사 등에서 모두 정상이지만 글루텐 프리 음식을 먹으면 증상이 호전되는 증상.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 환자가 국내에 얼마나 있는지는 아직 조사ㆍ연구된 적이 없다.

일반인이 글루텐 민감성이 의심되면 ‘음식 섭취 일기’를 쓰고 한 동안 글루텐 프리 음식을 먹거나 반대로 글루텐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해 글루텐 민감성 여부를 스스로 점검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신에게 ‘글루텐 민감성이 있다’고 여겨지고 영양실조ㆍ젊은 나이의 골다공증ㆍ출혈 없는 빈혈ㆍ약에 반응하지 않는 위장 증상 등이 동반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셀리악병이나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밀가루 섭취가 늘고 있지만 이로 인해 셀리악병 발생률이 높아졌다거나 밀가루 성분에 의한 알레르기가 증가했다는 조사결과도 아직 없다

이동호 교수는 “서구에서처럼 한국에서도 셀리악병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며 “한국인의 유전적 성향이 서구인과 다른 데가 음식의 종류도 서로 판이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글루텐과 셀리악병이 밀이 주식인 서구에서 더 문제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란 것이다.

이 교수는 “최근 미국에서 글루텐 프리 식품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해서 우리 국민이 이에 동조해 글루텐 공포에 떨 필요는 없다”며 “업계의 과도한 글루텐 공포 마케팅도 자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글루텐은 밀ㆍ호밀ㆍ보리 등에 든 단백질의 일종이다. 밀 단백질의 약 85%를 차지하는 글루텐은 밀가루를 차지고 쫄깃하게 한다. 밀가루 반죽이 끈끈하게 뭉치거나 몽실몽실 잘 부푸는 것은 글루텐 덕분이다.

심포지엄에서 한국식품연구원 유통시스템연구단 김상숙 책임연구원은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글루텐이 오래 전부터 섭취해와 ‘안전한 것으로 인식된 성분’(GRAS)이어서 제품에 따로 글루텐 함량 등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나
“미국 농무부(USDA)ㆍ영국ㆍ캐나다에선 적절한 함량 표시를 권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글루텐 프리 식품은 쌀가루ㆍ타피오카 전분ㆍ옥수수 가루 등으로 제조된다.

김 책임연구원은 “미국에서 글루텐 프리 식품의 가격은 글루텐 함유 식품에 비해 1.6∼1.8배 비싸다”며 “맛이나 조직감이 글루텐 함유 식품에 비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
#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www.kofrum.com)

#전화: 02-6300-2850(2852), 070-4710-8393

#메일: kofrum@gmail.com

LOGO WHITE

NO COMMEN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