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혼자 살면 함께 사는 사람보다 고용 변환에 더 취약
정규직 가구주 여성 ‘백조’ 되면 우울증 위험 3.1배
비가구주 여성의 자발적 실직, 우울증 위험과 무관
연세대 박소희 교수팀, 7000여명 분석 뒤 ‘BMJ’에 발표
정규직 근로자가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이 두 배 가까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고용 형태의 변화가 남성 가구주에겐 우울증 발생 위험을 최고 2.7배까지 높이는 반면 비(非)가구주 여성에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연세대 보건대학원 박소희 교수팀이 정부의 한국복지패널조사(2008∼2011년)에 응한 7368명을 대상으로 고용상태 변화와 우울증의 상관성을 살핀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학저널’(BMJ) 최근호에 소개됐다.
박 교수팀은 정규직 지위를 계속 유지(정규직→정규직)하고 있는 직장인의 우울증 발생 위험을 기준(1)으로 해 고용 형태의 변화가 우울증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했다. 정년 퇴직ㆍ해고 등 정규직에서 실업으로 바뀐 사람의 우울증 발생 위험이 1.78배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비정규직→실업(1.65배), 비정규직→비정규직(1.54배), 정규직→비정규직(1.46배), 실업→비정규직(1.34배) 순서였다. 고용 형태가 비정규직→정규직, 실업→정규직으로 바뀐 사람의 우울증 위험은 정규직 유지한 사람과 차이가 없었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정규직(precarious employment)은 특정 기간 내에 회사를 떠나기로 돼 있는 상태, 즉 임시직ㆍ파트타임ㆍ간접고용 등을 가리킨다”며 “(이번 연구에선) 구직 활동 여부와 상관없이 현재 직업이 없으면 모두 실업(unemployment)으로 간주했다”고 기술했다.
이 연구에선 또 성(性)ㆍ거주 지역ㆍ교육 수준ㆍ결혼 여부ㆍ경제적 능력ㆍ가구주 여부ㆍ자신이 평가하는 건강 상태 등이 고용 형태 변환 뒤의 우울증 위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용 형태가 바뀐 뒤의 우울증 발생 위험은 여성이 남성의 1.83배였다. 이는 여성이 심리적으로 더 예민한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또 대도시에 살수록(서울 시민이 농촌 지역 거주자의 1.29배), 학력이 낮을수록(초등 학력자가 대졸자의 1.25배), 홀로 살수록(기혼 대비 사별 1.71배, 이혼 1.31배, 독신 1.28배), 소득이 낮을수록(소득 수준을 4단계로 나눴을 때 최하위가 최상위 계층의 2.24배) 고용 형태 변환 뒤 우울증을 더 많이 경험했다.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현재 흡연자의 고용 형태 변환 뒤 우울증 위험은 ‘매우 건강하다’는 여기는 사람과 비(非)흡연자 대비 각각 3.6배ㆍ1.37배 높았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非)가구주 여성의 우울증 위험은 고용 형태의 변화에 특별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이는 여성의 경력 단절이 잦은 우리나라의 특수 상황에 기인하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고학력ㆍ고숙련 여성이라도 결혼ㆍ자녀 양육 등을 이유로 스스로 퇴사하거나 비정규직으로 옮겨가는 국내 여성 고용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란 것이다.
남성은 가구주(가계의 주 수입원) 여부와 상관없이 고용 형태의 변화가 우울증 위험을 높였다.
비(非)가구주 남성도 고용 형태가 실업→비정규직, 실업→정규직으로 바뀌자 우울증 위험이 각각 2.65배ㆍ2.25배(정규직 유지 대비) 높아졌다. 정규직 가구주 남성이 ‘백수’가 된 뒤의 우울증 위험은 2.56배(정규직 유지 남성 대비)였다.
여성 가구주는 고용 형태 변화에 따른 심리ㆍ정신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여성 가구주의 고용 형태가 정규직에서 ‘백조’(실업)로 바뀌었을 때의 우울증 위험은 3.1배로, 남녀를 통틀어 최고였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정규직ㆍ실업이 우울증과 연관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며 “고용 관련 정책을 세울 때 성(性)ㆍ가구주 여부를 고려할 필요한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마음의 감기’로 통하는 우울증의 남녀 비는 1 대 2다. 이유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 생리ㆍ임신ㆍ출산ㆍ수유 등 여성만의 생물학적 부담과 여성호르몬 등이 여성을 더 우울하게 만드는 것으로 짐작된다.
우울증은 절대 가볍게 봐선 안 되는 병이다. 우울감을 느끼는 정도라면 취미생활 등 기분 전환으로 얼마든지 해소할 수 있다. 중증 우울증은 자살이란 비극을 부를 수 있다. 세상살이가 각박해지고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우울증 환자는 늘어나게 마련이다.
—–
# 전화: 02-6300-2850(2852), 070-4710-8393
# 메일: kofrum@kofrum.com
● 네이버
└ [건강을 읽다]’백수’되면 우울증 두배 높아진다 – 아시아경제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배나 높아져 – 이데일리
└ 정규직 백수되면 우울증 위험 두배↑ – 뉴시스
└ 정규직에서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헤럴드경제
└ 정규직근로자가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아시아경제
└ 男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女 ‘백조’는 3.1배로 더 높아 – 헤럴드경제
└ 정규직, ‘백수’ 되면 ‘우울증 발생위험 2배’ – 의학신문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2배 – 매일경제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 세계일보
└ 정규직근로자, 직장 잃으면 우울증 위험 ‘껑충’ – 데일리안
└ 정규직 근로자 ‘백수’되면 우울증 2배 ‘껑충’ – 천지일보
└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실직 때 우울증 위험 높다 – 한국일보
└ 여성 가장, 정규직 일자리 잃으면 우울증 위험 3배로 – 연합뉴스
└ 희망? 명예? 퇴직 가장 우울증 위험 3배 – 코메디닷컴
└ 세대주 실직하면 우울증 위험 급증 – 한겨례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비정규직·실업, 우울증과 연관 있다’ – 데이터뉴스
● 다음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OBC더원방송
└ [건강을 읽다]’백수’되면 우울증 두배 높아진다 – 아시아경제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배나 높아져 – 이데일리
└ 정규직 백수되면 우울증 위험 두배↑ – 뉴시스
└ 정규직에서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헤럴드경제
└ 정규직근로자가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아시아경제
└ 男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女 ‘백조’는 3.1배로 더 높아 – 헤럴드경제
└ [헬스초점] 직장서 하루아침에 잘리면 ‘우울증’ 위험 2배 – 뉴스투데이
└ 정규직이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대한급식신문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2배 – 매일경제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 세계일보
└ 정규직근로자, 직장 잃으면 우울증 위험 ‘껑충’ – 데일리안
└ 정규직 근로자 ‘백수’되면 우울증 2배 ‘껑충’ – 천지일보
└ 정규직서 백수전락 우울증 위험 2배 – 식약일보
└ 정규직 근로자 실업자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메디칼통신
└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실직 때 우울증 위험 높다 – 한국일보
└ 여성 가장, 정규직 일자리 잃으면 우울증 위험 3배로 – 연합뉴스
└ 정규직, 백수 되면…‘우울증 위험’ 두 배로 증가해 – 스페셜경제
└ 희망? 명예? 퇴직 가장 우울증 위험 3배 – 코메디닷컴
└ 세대주 실직하면 우울증 위험 급증 – 한겨례
└ 정규직 근로자 ‘백수’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 – 컨슈머치
└ 정규직 근로자 백수 되면 우울증 위험 두 배..’비정규직·실업, 우울증과 연관 있다’ – 데이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