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가정간편식 소비 확대의 ‘기폭제’로 작용

코로나-19, 가정간편식 소비 확대의 ‘기폭제’로 작용

522
0
SHARE

 

GettyImages-jv11886628

 

– 가정에서 조리해서 먹는 비율 코로나 이후 10% P 이상 감소
– 코로나 유행 이후 외식 감소, 배달식과 테이크아웃식 증가
– 충북대 김선웅 교수팀, 전국의 1만여 가구 분석 결과

 

코로나-19 유행 이후 가정간편식(HMR) 소비 확대의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정에서 직접 음식을 조리해 먹는 비율은 코로나 이후 10% P(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2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충북대 농업경제학과 김선웅 교수팀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2020년 식품 소비행태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1만여 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COVID-19 전후 소비자의 간편식 구입 빈도 결정 요인 비교)는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가정간편식을 주(週) 1회 이상 구매하는 가구의 비율은 코로나 이전인 2018년 16.7%에서 코로나 이후인 2020년 22.5%로 증가했다. 반대로 간편식을 월 1회 미만 사는 가구의 비율은 같은 기간 48.5%에서 40.0%로 감소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엔 간편식을 주 1회 이상 사는 가구의 비율이 전년보다 4.0%P 증가하고, 월 1회 미만 사는 가구의 비율은 전년 대비 6.0%P 감소했다”며 “코로나-19 발생이 국내에서 간편식 소비 증가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가정에서 음식을 직접 조리한다는 비율도 코로나 이후 13%P(2018년 86.8%→2020년 72.9%) 이상 감소했다.
코로나 유행 이후 외식은 줄고 배달식 이용은 늘었다. 외식 이용 비율은 2020년엔 전년보다 4.8%P 감소, 배달이나 테이크아웃 이용 비율은 전년 대비 2.4%P 증가했다.
1인 가구와 주 2회 이상 혼자 식사한다는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다.
한편 가정간편식(HMR)의 연간매출액은 2015년 약 2조2,077억원에서 2019년 약 4조2,059억원으로, 연평균 14.4%씩 성장했다. 가정간편식이 국내 식품산업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4.3%에서 2019년 7.1%로 증가했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는 간편식 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간편식 시장은 기존 외식 시장까지 흡수하고 있다. 간편식 시장규모는 2022년에 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박하연 기자 mintyeon34@foodnmed.com

NO COMMEN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