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많아지면 신체적 장애ㆍ우울증 등 당뇨병 치료 장애 요인 늘어
-노인 당뇨병 환자의 성별 비율도 10년 전 ‘여초’에서 남녀 균형으로 변화
-전북대 김숙배 교수팀,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 1,641명 분석 결과
노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강하제 복용 등 약물 의존도가 10년 새 크게 높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10년 전엔 남녀 환자의 비율이 4 대 6 정도였으나, 최근엔 거의 5 대 5로 균형을 이뤘다.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전북대 식품영양학과 김숙배 교수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각각 2007∼2009년(627명)과 2016∼2018년(1,014명)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 1,641명을 대상으로 10년 새 노인 당뇨병 환자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당뇨병 노인의 혈액 생화학적 특성, 식이 섭취, 당화혈색소 관련 위험 요인 및 위험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와 제7기(2016-2018) 비교)는 대학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김 교수팀은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았거나, 8시간 공복 혈당이 126㎎/㎗ 이상이거나, 혈당강하제 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는 사람을 당뇨병 환자로 분류했다.
2007∼2009년엔 노인 당뇨병 환자 비율이 높은 나이대가 65∼69세(전체의 41.2%)였으나, 10년 후인 2016∼2018년엔 75세 이
상(42.5%)으로 높아졌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로 당뇨병 노인의 평균 나이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나이가 많아지면 신체적 장애ㆍ우울증ㆍ기억력 감퇴 등 당뇨병 치료의 장애 요인이 함께 늘어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평균 나이가 많아진 만큼 환자의 유병 기간도 길어졌다. 10년 전엔 1년 미만이 26.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10년 후엔 10년 이상이 3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10년 전엔 노인 당뇨병 환자의 61.3%가 여성(남성 38.7%)으로 여초(女超) 현상이 뚜렷했으나, 10년 후엔 거의 성별 균형(남 47.6%, 여 52.4%)이 맞춰졌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와 치료방법도 2007∼2009년엔 경구혈당강하제 60.5%, 운동ㆍ식이요법 27.1%였으나, 2016∼2018년엔 경구혈당강하제 80.9%, 운동ㆍ식이요법 8.0%로 약물 의존도가 많이 높아졌다.
당뇨병은 환자 자신이 의사란 말이 있을 만큼 교육이 중요하지만 ‘영양교육이나 상당 교육 경험이 없다’는 응답률이 91%에 달했다.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전북대 식품영양학과 김숙배 교수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각각 2007∼2009년(627명)과 2016∼2018년(1,014명)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 1,641명을 대상으로 10년 새 노인 당뇨병 환자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당뇨병 노인의 혈액 생화학적 특성, 식이 섭취, 당화혈색소 관련 위험 요인 및 위험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와 제7기(2016-2018) 비교)는 대학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김 교수팀은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았거나, 8시간 공복 혈당이 126㎎/㎗ 이상이거나, 혈당강하제 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는 사람을 당뇨병 환자로 분류했다.
2007∼2009년엔 노인 당뇨병 환자 비율이 높은 나이대가 65∼69세(전체의 41.2%)였으나, 10년 후인 2016∼2018년엔 75세 이
상(42.5%)으로 높아졌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로 당뇨병 노인의 평균 나이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나이가 많아지면 신체적 장애ㆍ우울증ㆍ기억력 감퇴 등 당뇨병 치료의 장애 요인이 함께 늘어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평균 나이가 많아진 만큼 환자의 유병 기간도 길어졌다. 10년 전엔 1년 미만이 26.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10년 후엔 10년 이상이 3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10년 전엔 노인 당뇨병 환자의 61.3%가 여성(남성 38.7%)으로 여초(女超) 현상이 뚜렷했으나, 10년 후엔 거의 성별 균형(남 47.6%, 여 52.4%)이 맞춰졌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와 치료방법도 2007∼2009년엔 경구혈당강하제 60.5%, 운동ㆍ식이요법 27.1%였으나, 2016∼2018년엔 경구혈당강하제 80.9%, 운동ㆍ식이요법 8.0%로 약물 의존도가 많이 높아졌다.
당뇨병은 환자 자신이 의사란 말이 있을 만큼 교육이 중요하지만 ‘영양교육이나 상당 교육 경험이 없다’는 응답률이 91%에 달했다.